안녕하세요. 많은 건축가들이 인정한 CAD, 마이다스캐드입니다.
최근 인천, 서울 화곡동, 동탄 등 전국적으로 대규모 전세사기 피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생한 전세사기는 주택담보대출과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합친 금액이 집의 실제 매매가의 80%를 넘는 깡통주택을 수십개에서부터 많게는 수천 개 사들여 수많은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아 발생하였죠. 깡통주택은 전세로 들어가는 순간부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요. 오늘은 마이다스캐드와 전세 사기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세 사기 피해 유형은 다양하며, 제일 많은 피해가 발생한 요인으로는 깡통전세가 있습니다.
깡통전세는 시세를 알기 어려운 신축빌라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집주인이 전세 보증금을 매매가와 비슷한 가격으로 부풀려 집을 처분해도 전세금을 세입자에게 돌려주기 어려운 주택을 말하는데요. 소액 자금으로 주택을 구매하고 전세 계약을 맺은 뒤, 이때 받은 보증금으로 다른 주택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수백 채의 주택을 소유하는 '무자본 갭투자'의 여파로 인해 현재 부동산 가격이 하락한 시점에 깡통 전세로 인한 전세 사기가 다수 발생했습니다.
또한 하나의 주택을 두고 임대인과 임차인이 서로 다른 내용의 임대차 계약을 맺는 이중계약으로 인한 전세 사기 피해 사례도 있습니다. 집주인과 월세 계약을 한 임차인이 집주인 행세를 하며 새로운 세입자와 전세 계약을 하기도 하며, 집주인에게 월세 계약을 했다고 거짓말을 한 뒤, 대리인이 새로운 세입자와 전세 계약을 맺을 때 발생하죠. 이 외에 신탁 회사가 소유한 등기 매물을 집주인이 임대차계약을 맺어 전세금을 가로채는 사례도 있으며, 하나의 등기 매물을 2인 이상의 세입자와 각각 전세 계약을 체결하여 전세금을 가로채는 사례 등 전세사기는 다양한 형태로 발생합니다.
전세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세 계약 전에 필수로 확인하셔야 할 사항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우선 깡통주택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세 계약을 맺을 집의 시세를 파악하셔야 하는데요. 인근 부동산을 방문하여 공인중개사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도 있으며,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집값 시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전세 보증금이 2억원인데 집값 시세가 2억 2천만원이라면 전세보증금과 매매가가 비슷하므로 이런 주택은 피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그리고 전세 계약을 할 때는 대항력, 우선변제권 확보 방법 등 계약 전 필수 확인사항을 안내하고 임차인의 보증금 보호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전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주택임대차표준계약서를 사용하셔야 하며, 추가적으로...
.
.
.
# 건축법 -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전기차 충전소 사용 관련 법 및 설치 프로세스 (0) | 2024.02.24 |
---|---|
# 건축법 - 첨탑 구조물 안전 관리 건축법 개정 (0) | 2024.02.23 |
# 건축법 - 건축물의 화재 안전 강화를 위한 건축법 시행령 개정 (0) | 2024.02.19 |
# 건축법 - 63cm 차이로 입주 불가? 김포 아파트 고도제한 위반 (0) | 2024.02.16 |
# 건축법 - 대안학교, 알고보니 불법 건축물? (0) | 2024.02.14 |